구글 코랩(Google Colaboratory)은 구글에서 제공하는 Jupyter Notebook 입니다. 시스템을 구글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개인의 PC보다 좋은 성능 및 접근성을 제공합니다. 

딥러닝을 위해서는 성능 좋은 GPU가 필요한데 요즘 그래픽카드의 가격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올라가고 있네요ㅜㅜ(요즘은 조금 안정된 것 같습니다.)

구글 클라우드 기반의 시스템을 이용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설정 과정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딥러닝을 학습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준비물
  • 구글계정
  • 웹브라우저 : 구글 클라우드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크롬(Chrome)을 추천
접속하기
 

Google Colaboratory

 

colab.research.google.com

에 접속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취소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은 초기화면을 볼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구글 드라이브에 접속해서 계정에 작업 폴더를 만든 후, 그 폴더에서 Colab를 시작시킬 수도 있습니다. 

구글(www.google.co.kr)에 접속한 후 오른쪽 상단의 로그인을 이용하여 로그인 합니다.

로그인 후 자신의 아이콘 옆에 보면 점이 9개 찍힌 아이콘을 클릭한 후 드라이브를 선택합니다.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작업할 새로운 폴더로 이동하여 새로만들기를 클릭합니다.

더보기를 선택한 후 Google Colaboratory를 선택하면 됩니다. 화면에 Google Colabratory가 안보일 경우 연결할 앱 더보기를 선택하여 "colaboratory"를 검색한 후 설치하면 Google Colaboratory가 활성화됩니다.

Google Colaboratory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드라이브 연결하기

구글 코랩은 구글 드라이브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요. 접속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거의 대부분 첫번째 방법을 이용하실텐데요. 간혹 2번째 경우를 이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첫번째 방법은 UI에서 선택하여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코랩을 실행한 후, 좌측 폴더 아이콘(1)을 클릭합니다. 그리고, 구글 드라이브 아이콘(2)를 클릭합니다.

Google Drive에 연결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화면이 바뀌면서 드라이브 연결이 완료됩니다.

간혹 아래와 같은 화면이 발생하기도 하는데요. 이때 닫기를 누른 후 왼쪽의 세모를 클릭합니다.

실행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요. 링크를 클릭하면 새로운 창이 아래와 같이 뜹니다.

드라이브를 연결할 계정을 선택하면

코드가 나오는데요. 이때 오른쪽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자동으로 복사됩니다.

이전 탭으로 다시 돌아와 

Enter your authorization code: 

부분에 붙여 넣기를 하고 엔터를 누르면 드라이브 연결이 완료됩니다.

새로고침 아이콘을 누르면 drive가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는 구글 코랩을 사용하는 방법 및 설정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